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힐링코드 동영상 더보기
힐링코드 동영상 더보기
힐링코드 칸타빌레 더보기
그리스도인의 사랑과 결혼 - 정동섭 ---------------------그리스도인의 사랑과 결혼 정동섭교수(침신대)1. 한국인의 유교 의식 한국인들이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은 종교는 유교와 불교와 도교이다. 그 중에도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은 종교는 유교이다. 이러한 유교는 한국인에게 있어서 종교이기 보다는 세게관이고, 정치 이념이며, 철학, 생활 양식이다. 그리고 한국인은 자신이 이러한 유교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 조차도 느끼지 못한다. 한국의 크리스챤들도 예외는 아니어서 겉은 기독교인이지만 안에는 유교, 더 깊이 들어가 보면 샤머니즘의 지배를 받고 있다. 한국의 신학생들과 목회자들도 집단 무의식 속에 공자 사상의 지배를 받고 있다. 엡 4:23절에는 새롭게 된 예배소 교회에 오직 심령으로 새롭게 되어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금의 우리.. 더보기
1512 사랑과 행복에의 초대 - 양은순 25년전에 이성 교제에 눈을 뜨면서 많은 도움을 받았던 책이다. 결혼하는 커플을 위해 어떤 조언을 해줄까 고민하면서 다시 읽었다. 사람들은 둘만 행복하면 될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두 사람이 합쳐진 것은 세상에 대해 분명한 사명이 있는 것이다. 생동적인 가정이란 그 가정이 존재하므로 이웃과 세상에 대해 그 존재감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의 바탕에는 사랑이 있어야 한다. 더보기
1511 5 가지 사랑의 언어 - 게리 체프먼 사람마다 각기 다른 사랑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서로 못 알아 들을 수 있으며 자기 기준으로 그 말을 해석해서도 안된다. 상대방이 듣고자하는 사랑의 언어를 구사해보라. 일단 해보고 안되면 다른 언어를 찾아야 한다. 각 사람이 가장 중시하는 제1의 사랑의 언어를 전해보자. 가정이 회복될 것이다. 4. 제1의 사랑의 언어-인정하는 말 5. 제2의 사랑의 언어-함께하는 시간 6. 제3의 사랑의 언어-선물 7. 제4의 사랑의 언어-봉사 8. 제5의 사랑의 언어-육체적인 접촉 더보기
1510 김병완의 책쓰기 혁명 - 김병완 김병완씨가 3년간 약 만권의 책을 읽고나서 2년간 50권의 책을 썼다. 그가 말하기를 읽기와 쓰기를 3:1로 해야한다고 한다. 48분 기적의 독서법을 쓸때만 해도 책을 읽는 것이 인생을 변화시킬만큼 대단한 위력이 있다고 설명했는데, 이 책을 읽어보니 무조건 책을 써야한다고 한다. 책을 쓰는 것이 얼마나 내면을 성숙시키는지 모른다고 한다. 초고를 그냥 출판사에 넘긴다는 것은 그만큼 글쓰기에 자신감이 붙었다는 뜻이다. 김병완씨의 글쓰기 스타일은 그냥 무조건 아무거나 쓰는 것이다. 하루에 5장~10장을 아무 주제로나 내키는대로 써나가다 보면 좋은 작품이 나온다는 것이다. 글쓰기의 제 1원칙은 꾸미지 말고 전달하려고만하라는 것이다. 더보기
1509 포크는 왜 네 가퀴를 달게 되었나? - 헨리 페트로스키 식탁에서 사용하는 나이프가 처음에는 날카로운 모양이었고 그것으로 음식을 찍어 먹기도 했다. 네 갈퀴의 포크가 만들어지면서 포크로 더 많은 음식을 먹게 되었다. 실핀, 옷핀(안전핀), 클립, 스테플러 같은 것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개발되었는지 자세한 이야기를 읽는 것이 참 흥미로왔다. 생활 속에서 불편한 점을 개선하려는 노력들이 발명으로 연결된 것이다. 맥주캔의 윗면이 왜 캔의 지금보다 작은지를 아는가?왜 여자 옷은 단추가 왼쪽에 달려 있을까? 그냥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일들이 다 이유가 있었다. 더보기